맨위로가기

만주국 국무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주국 국무원은 만주국의 내각으로, 10개의 부처로 구성되었다. 만주족 또는 한족 출신의 만주국 국민이 각 부의 장관을 맡았으며, 차관은 관동군 수뇌부가 임명한 일본 제국 육군 장교가 임명되어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했다. 국무원은 1932년 만주국 건국 당시 조직되었으며, 1934년 푸이의 황제 즉위와 함께 직함이 변경되었다.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만주국이 붕괴될 때까지 각 부의 조직과 명칭에 변화가 있었고, 국무원 청사는 창춘에 건설되어 현재는 지린 대학의 교사로 사용되거나 박물관으로 공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춘시의 역사 - 만보산 사건
    만보산 사건은 1931년 만주 만보산 지역에서 조선인 이주민과 중국인 농민 간에 발생한 수로 공사 관련 충돌로, 일본의 과장 보도로 조선 내 반중국인 감정을 격화시키고 만주사변의 원인이 되었다.
  • 창춘시의 역사 - 대동학원
    대동학원은 만주국 봉천성에 설립되어 오족협화 이념 교육과 일본어 강화 등 일본 제국주의 황민화 정책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는 교육기관으로, 광복 후 폐원되었으며 최규하 전 대통령 등을 배출했다.
  • 만주국 - 관동군
    관동군은 일본 제국이 만주 지역 침략과 지배를 위해 설치한 군대로, 만주사변을 일으키고 만주국을 세우는 등 중국 침략의 선봉 역할을 했으며, 731 부대를 운영하며 전쟁 범죄를 저질렀고, 1945년 소련의 만주 침공으로 패망했다.
  • 만주국 - 만주국 황제
    만주국 황제는 1934년 푸이가 즉위하며 시작된 만주국의 국가 원수 칭호로, 푸이는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며 만주국 멸망까지 황제 지위를 유지했고, 일본의 괴뢰국 이미지를 희석하기 위한 정치적 수단으로 황제의 권한이 강조되었으며, 청나라 황실과 단절된 푸이만의 왕조임을 명시했다.
만주국 국무원
개요
명칭국무원
원어 명칭만주어: ᠮᠠᠨᠵᡠ ᡤᠣᡵᠣᠨ ᡳ ᡝᠨᡩᡠᡵᡳᠨ
중국어 간체: 国务院
중국어 정체: 國務院
로마자 표기Guówùyuàn (궈우위안)
존속 기간1934년 12월 1일 ~ 1945년 8월 18일
주요 정보
국가만주국
정치 체제내각책임제
위치신징
설명만주국의 행정 기관
지도부
국무총리정샤오쉬 (1934년 ~ 1935년)
장징후이 (1935년 ~ 1945년)
국무원 총무장관고이즈미 요시나가 (1934년 ~ 1937년)
무토라 산지 (1937년 ~ 1939년)
우메즈 요시오 (1939년 ~ 1942년)
다테키 마사오 (1942년 ~ 1945년)
역사
설립1934년 12월 1일
해체1945년 8월 18일
기타
이전 기관행정원
후신 기관중화민국 행정원

2. 조직

만주국 국무원은 10개의 부처로 구성된 내각이었다. 내각 장관들은 모두 만주족 또는 한족 출신의 만주국 국민이었으며, 모든 부처의 차관은 관동군 수뇌부가 임명한 일본 제국 육군 장교였다. 일본인 차관은 영국의 해외 보호령에 있는 영국 상주 위원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여 "자국" 장관의 모든 조치에 대한 최종 승인권을 가졌다. 국무원 자체는 사무총장이 주재했으며, 초대 사무총장은 일본인 고마이 다쿠조였다.

만주국 내각 장관


정샤오쉬 총리 시절 국무원의 초기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 총리
  • 내무부
  • 외무부
  • 국방부
  • 재무부
  • 산업 및 농업부
  • 교통 통신부
  • 법무부
  • 교육부
  • 몽골 사무부


1934년 조직법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규정했다.

  • 제반 행정권을 관장하는 규정 (제27조).
  • (국무원에) 국무총리와 각 부 대신을 두는 규정 (제28조).
  • 각 부 대신은 소관 사무에 대해 책임을 지는 규정 (제29조).
  • 국무에 관한 조서·법률·칙령에 국무총리 및 각 부 대신이 부서하는 규정 (제31조).


만주국은 의회인 입법원이 개원되지 않아 사실상 국정 최고 기관이었다. 체제상 국가 원수인 푸이의 직속 조직이었지만, 실제 국무원에는 관동군에서 파견된 일본인이 요직을 차지하고 있어 푸이조차도 자유롭게 할 수 없는 조직이었다.

2. 1. 1932년 (대동 원년)

1932년 만주국 건국 당시, 국무원은 국무총리를 정점으로 하부조직으로서 부를 설치하였다. 각부의 장은 총장이다. 만주국 건국 당시 국무원의 주요 요인은 아래와 같다.

국무원 총리정샤오쉬(鄭孝胥)
민정부 총장장스이(臧式毅)민정부 차장바오캉(葆康)
문교부 총장정샤오쉬(鄭孝胥)문교부 차장수루펀(許汝棻)
외교부 총장셰제스(謝介石)외교부 차장오하시 주이치(大橋忠一)
군정부 총장마잔산(馬占山)군정부 차장왕징수이(王静修)
사법부 총장펑한칭(馮涵清)사법부 차장후루타 마사후(古田正武)
재정부 총장시차(熙洽)재정부 차장쑨치창(孫其昌)
실업부 총장장얀칭(張燕卿)실업부 차장다카하시 야스노리(高橋康順)
교통부 총장딩젠슈(丁鑑修)교통부 차장히라이테 데이산(平井出貞三)



차관급 관료 일부에는 일본인이 등용되었으며, 실무 담당에도 상당수의 일본인이 등용되었다. 또한, 인사권에 대해서는 관동군 사령관과의 협의가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국무원에는 관동군의 의향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

2. 2. 1934년 (강덕 원년)

1934년 푸이가 만주국 황제에 즉위하면서 국무원 직함이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 국무원 총리 → 국무총리 대신
  • 총장 → 대신


만주국은 1934년 3월 1일 군주제를 선포했으며, 전 청나라 황제 푸이가 강덕 황제라는 연호로 만주국 황위에 올랐다. 같은 날 발표된 칙어는 새로운 국가의 유기법을 공포하여, "황제가 그의 임무를 수행하는 데 조언하고 돕기 위해" 추밀원, 입법원 및 국무원을 설립했다. 추밀원은 푸이의 가장 가까운 친구와 측근으로 구성된 임명 기관이었고, 입법원은 권한이 없는 명예직 기관이었다. 따라서 국무원은 만주국의 정치 권력의 중심이었다.

2. 3. 1945년 (강덕 12년)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만주국은 붕괴되었다.[1] 그전까지 몇 차례 각 부서의 조직 및 명칭 변경이 있었지만, 만주국 해체(패전) 당시 국무원의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다.

직책성명직책성명
국무총리대신장징후이후생부 차장세키야 데이조
후생부 대신진밍스국민근로부 차장한다 핀치
국민근로부 대신위징타오문교부 차장마에노 시게루
문교부 대신루위안산외교부 차장시모무라 노부사다
외교부 대신루안전두오군사부 차장마나이 쓰루키치
군사부 대신싱스리안사법부 차장쓰지 기타로
사법부 대신얀추안푸경제부 차장아오키 미노루
경제부 대신위징위안흥농부 차장시마자키 요이치
흥농부 대신황푸준교통부 차장다쿠라 하치로
교통부 대신구치헝


3. 기능 및 역할

만주국 국무원은 10개의 부처로 구성된 내각이었다. 내각 장관들은 모두 만주족 또는 한족 출신이었지만, 모든 부처의 차관은 관동군 수뇌부가 임명한 일본 제국 육군 장교였다. 일본인 차관은 영국의 해외 보호령에 있는 영국 상주 위원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여 "자국" 장관의 모든 조치에 대한 최종 승인권을 가졌다. 국무원 자체는 사무총장이 주재했으며, 초대 사무총장은 일본인 코마이 타쿠조였다.

1934년의 조직법은 국무원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였다.


  • 제반 행정권을 관장하는 규정 (제27조).
  • (국무원에) 국무총리와 각 부 대신을 두는 규정 (제28조).
  • 각 부 대신은 소관 사무에 대해 책임을 지는 규정 (제29조).
  • 국무에 관한 조서·법률·칙령에 국무총리 및 각 부 대신이 부서하는 규정 (제31조).


만주국에서는 의회인 입법원이 개원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실상 국무원이 국정의 최고 기관이었다. 체제상으로는 국가 원수인 푸이의 직속 조직이었지만, 실제 국무원에는 관동군에서 파견된 일본인이 요직을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푸이조차도 자유롭게 할 수 없는 조직이었다.

4. 청사

국무원 청사는 신징 시내에 지어진 4층짜리 양 날개와 5층짜리 본관으로 이루어진 웅장한 건물로, 철근 콘크리트로 지어졌으며 의장(擬裝) 동양식 지붕과 탑을 갖춘 포털 프레임 구조였다. 건물은 정문이 서쪽을 향하도록 설계되었다. 설계는 국무원영선수품국 영선처 설계과의 이시이 타츠로가 담당하고, 시공은 오바야시구미가 맡아 1936년에 준공되었다.

해체 후, 지린 대학(구 백구은 의과대학)의 교사로 이용되었으며, 일부는 "'''위만주국 국무원'''"이라는 명칭으로 박물관으로 공개되어 있다.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만주국을 부정하는 입장에서 만주국의 유적군 머리글자에 "'''위'''"를 붙여 표기하고 있다. 현재, 구 국무원을 포함한 만주국 행정부 건물은 "팔대부"로서, 내외 관광객이 창춘시에서 외부에서 바라봐야 할 명소가 되었다. 그중 구 국무원의 청사는 지린 대학 청사의 일부가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